어느 심포지움에 참석한 일이 있었다. 그때 주제(主題)는
노인의 사는 보람에 대해서였다. 여러 가지 좋은 의견들이 많았는데,
나는 여기서 다시 한 번 사는 보람에 대한 나의 평소의 생각들을
정리해 보기로 한다. 먼저 ‘노인의 사는 보람’과 ‘젊은이들의 사는 보람’은
과연 다른 것인지? 나는 이 문제에 대해 항상 의문을 갖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말할 것이다. 노인에게는 노인의 사는 보람이 있고,
젊은이에게는 젊은이의 사는 보람이 있어 마땅한 것이라고. 그런
것일까? 나는 알 수가 없는 것이다. 노인과 젊은이의
근본적인 차이를 알 수 없는 것이다.
분명히 노인과 젊은이 사이에는 표면적인 차이는 있다.
노인은 체력(體力)이 떨어지면서 모든 일에서 손을 떼게 된다. 그러다가
노쇠해진 다음에는 노인병(老人病)과 죽음에의 불안이 엄습해
오게 마련이다. 이와는 달리 젊은이에게는 넘치는 활력과 여러 가지
가능성으로 가득 찬 미래가 있다. 일거리가 있고, 경제력은
늘어나기만 한다. 그러나 이것은 근본적인 차이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젊은이가 지니고 있는 체력과 경제력, 그리고 미래의 가능성이라는
것은 언제 어느 때 잃게 될는지 모르는 불안정한 것이다.
나만 하더라도 아침저녁으로 40명분의 식사를 준비하면서
낮에는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칠 정도로 튼튼한 체력을 가져 본
적이 있었다. 당시 내가 살던 곳에서 초등학교 선생이라는 직업은
여성으로서는 급료도 고급 축에 끼는 직업이었다. 내게는 또한 약혼자가
있었고, 푸른 미래가 있었다.그러나 어느 날 갑자기 나는
고열(高熱)로 쓰러졌다. 폐결핵으로 인한 발병이었다. 스토마이라든가
파스도 없는 시대여서 결핵요양소에서 요양 중이던 친구들은
마구 죽어 갔다. 나는 경제력을 잃게 되면서 의료 보호를 받게 되었다.
40명분의 식사 준비를 하면서 학교에 나갔던 체력은 간 곳도 없이,
화장실 출입을 할 기력마저 없어졌다.
몇 해를 이렇게 앓다가 이번에는 카리에스가 발병,
꼬박 7년을 기브스 베드에서 신음하는 몸이 되었다. 그리하여 변기(便器)를
써야만 하는 생활이 계속되었다. 설 수조차 없었다. 결국은 12년 동안이나
요양 생활을 하게 되었다. 내가 그래도 몸이 나아진 것은 37세 때이다. 당시의
나의 요양 중의 몰골을 나는 결코 잊을 수가 없다. 체력도, 지력도 잃은 채
사회에서 뒤처진 몸으로 언제 회복될런지도 모르는, 이를 테면 죽음만을
기다리고 있는 환자들 틈에 끼어 있었던 것이다. 저들 많은 환자들이 안고 있는
문제와 노인들이 안고 있는 문제에서 도대체 무엇이 얼마나 다르다는
것일까? 만일 틀리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나이가 젊다는 것뿐이다. 젊었던
만큼 차례로 죽어 가는 요우(僚友)를 바라보며 다음은 내 차례가 될는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은 오히려 더욱 강렬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젊은이와 노인이란 근본적으로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이라고 나는 감히 말하고 싶다. 인간은 늙은 후에야 비로소 체력과
기력이 뒤떨어짐을 느끼거나, 무력한 경제력을 한탄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생각할 때 나는 ‘노인의 사는 보람’이라는 한정된
표현에 대해 찬성할 수 없음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젊은이의 사는
보람이 장년(壯年)이 되어서는 또 다른 사는 보람으로 바뀌고, 또한 장년
시절의 사는 보람이 나이가 들어서는 통용되지 않는 것으로
되는 것이라고 해서야 우스운 일이라고 생각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것이야말로 사는 보람이라고 믿었던 것을
버리고 다시 또 사는 보람을 찾아야만 되는 것이라면, 인간은 일생 동안
여러차례 ‘사는 보람’ 을 잃게 되는 것이 아닌가. 만약
그처럼 연대(年代)가 바뀜에 따라 사는 보람을 바꾸어야만 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참된 사는 보람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을 사는 보람으로 삼아
온 것이 아닌가고 나는 생각한다. 진정한 뜻으로의 사는 보람으로 건강한
때도, 건강을 잃은 때도, 일할 것을 가지고 있을 때도, 잃었을 때도,
나이들었을 때도 불변(不變)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는 자기가 사는 보람은 무엇인가를 때때로 조용히
검토해 보아야 한다. 남편이 사는 보람이요, 아이들이 사는 보람이요,
일하는 것이 사는 보람이 되고 한다면 그것을 잃었을 때 우리는
동시에 사는 보람을 잃게 된다. 잃을 수 없는 사는 보람은 반드시 있다.
나는 그것을 이 자리에서 단언할 수가 있다. 나는 건강을 잃고,
직업을 잃고, 연인을 잃으며 병상(病床)에 누워 있으면서도 내가 믿은
사는 보람만은 잃지 않은 것이다. 그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다름 아닌 신의 사랑이며, 신앙이었다.
'읽고 싶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숨어 있는 나무 / 이정림 (0) | 2019.11.27 |
---|---|
한은 보랏빛 / 천경자 (0) | 2019.11.17 |
침묵의 눈 / 법정 (0) | 2019.10.30 |
참 아름다운 사랑 / 최원현 (0) | 2019.10.22 |
고목(古木) / 윤오영 (0) | 2019.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