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난(蘭)을 기른 지 20여 년, 20여 종으로 30여 분
까지 두었다. 동네 사람들은 나의 집을 화초(花草) 집이라기도 하고
난초병원(蘭草病院)이라기도 하였다. 화초 가운데 난이 가장
기르기 어렵다.난을 달라는 이는 많으나, 잘 기르는 이는 드물다.
난을 나누어 가면 죽이지 않으면 병을 내는 것이다.
난은 모래와 물로 산다. 거름을 잘못하면 죽든지
병이 나든지 한다. 그리고 볕도 아침 저녁 외에는 아니 쬐어야 한다.
적어도 10년 이상 길러 보고야 그 미립이 난다 하는 건,
첫째 물 줄 줄을 알고, 둘째 거름 줄 줄을 알고, 셋째 위치를 막아
줄 둘을 알아야 한다. 조금만 촉랭(觸冷)해도 감기가
들고 뿌리가 얼면 바로 죽는다.
이전 서울 계동 홍술햇골에서 살 때 일이었다.
휘문 중학교의 교편을 잡고 독서, 시작도 하고 고서(古書)도
사들이고 그 틈으로 난을 길렀던 것이다. 한가롭고 자유로운 맛은
몹시 바쁜 가운데서 깨닫는 것이다. 원고를 쓰다가 밤을
새우기도 와왕 하였다. 그러하면 그러할수록
난의 위안이 필요하였다.
그 푸른 잎을 보고 방렬(放列)한 향을
맡을 순간엔, 문득 환희의 별유세계(別有世界)에 들어
무아무상(無我無想)의 경지에 도달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조선의 학회 사건에 피검(被檢)되어 홍원(洪原),
함흥(咸興)서 2년 만에 돌아와 보니, 난은 반수
이상으로 죽었다. 그 해 여산으로 돌아와서 십연 분을
간신히 살렸다. 갑자기 8 ․ 15 해방이 되자 나는
서울로또 가 있었다. 한겨울을 지내고 와 보니 난은 모두
죽었고, 겨우 뿌리만 성한 것이 두어 개 있었다.
그걸 서울로 가지고 가 또 살려 잎이 돋아나게 하였다.
건란(建蘭)과 춘란(春蘭)이다.
춘란은 중국 춘란이 진기한 것이다. 꽃이나
보려 하던 것이 또 6 ‧ 25 사변으로 피난하였다가 그 다음해
여름에 가보니 장독대 옆 풀섶 속에 그 고해(故解)만
엉성하게 남아 있었다. 그 후 전주로 와 양사재에 있으매,
소공(素空)이 건란 한 분을 주었고 고경선군이 제주서
풍란 한 등걸을 가지고 왔다. 풍란에 웅란(雄蘭), 자란(雌蘭)
두 가지가 있는데, 자란은 이왕 안서(岸曙) 집에서 보던
것으로서 잎이 넓죽하고, 웅란은 잎이 좁고 빼어났다.
물을 자주 주고 겨울에도 특히 옹호(擁護)하여,
자란은 네 잎이 돋고 웅란은 다복다복하게 길었다. 벌써
네 해가 되었다. 십여 일 전 나는 바닷게를 먹고
중독되어 곽란(癨亂)이 났다. 5, 6일 동안 미음만 마시고
인삼 몇 뿌리 달여 먹고 나았으되, 그래도 병석에
누워 더 조리하였다. 책도 보고, 시도 생각해 보았다.
풍란은 곁에 두었다. 하이얀 꽃이 몇 송이 벌었다.
방열(放熱), 청상(淸爽)한 향이 움직이고 있다. 나는 밤에도
자다가 깨었다. 그 향을 맡으며 이렇게 생각을
하여 등불을 켜고 공책에 적었다.
잎이 빳빳하고도 오히려 영롱하다.
썩은 향나무 껍질에 옥 같은 뿌리를 서려 두고
청량한 불줄기를 머금고 바람으로 사노니.
꽃은 하이하고도 여린 자연(紫煙) 빛이다.
높고 조촐한 그 품(品)이며 그 향을
숲 속에 숨겨 있어도 아는 이는 아노니.
완당 선생이 한묵연(翰墨緣)이 있다는 듯이
나는 난연(蘭緣)이 있고 난복(蘭福)이 있다. 당귀자(唐貴子),
계수나무도 있으나, 이 웅란에는 백중(伯仲)할 수 없다.
이 웅란은 난 가운데에도 가장 진귀하다.
‘간죽향수 문주인(看竹向須問主人)’ 이라 하는 싯구가 있다.
그도 그럴 듯하다. 나는 어느 집에 가 그 난을 보면
그 주인이 어떤 사람인가를 알겠다.
고서(古書)도 없고, 난도
없이 되잖은 서화(書畵)나 붙여 놓은 방은 비록
화려 광활하다 하더라도 그건 한 요리집에 불과하다.
두실와옥(斗室蝸屋)이라도 고서 몇 권, 난 두어 분,
그리고 그 사이 술이나 한 병을 두었다면
삼공(三公)을 바꾸지 않을 것 아닌가? 빵은 육체나 기를
따름이지만 난은 정신을 기르지 않는가?
'읽고 싶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어떻게 수필을 쓰는가 / 이정림 (0) | 2020.02.13 |
---|---|
부단히 떠나야 한다 / 구양근 (0) | 2020.01.24 |
쓰고 싶고 읽고 싶은 글 / 윤오영 (0) | 2019.12.21 |
양지의 꿈 / 천경자 (0) | 2019.12.15 |
수필 읽으면서 느끼는 것 / 윤모촌 (0) | 2019.12.13 |